두 번째 키워드 볼까요. <br /> <br />'냉·온탕' 대출정책에 혼란↑…고개 숙인 이복현이네요. <br /> <br />어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사과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어제 이복현 원장이 18개 국내 은행의 은행장들과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백브리핑을 했거든요. <br /> <br />백브리핑은 공식 브리핑처럼 정형화된 형식이 아니라, 자유롭게 질문과 답변이 오가는 방식인데요. <br /> <br />이 자리에서 이 원장이 고개를 숙였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이 원장은 대출 규제와 관련한 '오락가락' 발언으로 비판을 받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이 원장의 발언 직접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이복현 / 금융감독원장 (어제) : 급증하는 가계대출 관리와 관련해서 조금 더 세밀하게 저희가 입장과 메시지를 내지 못한 부분, 그리고 그로 인해서 국민이나 특히나 은행들 더더군다나 이제 은행의 창구에서 직접 업무를 하신 분들께 여러 가지 불편과 어려움을 드려서 이 자리를 빌려 송구하다는 말씀과 죄송하다는 말씀을 다시 올리겠습니다.] <br /> <br /> <br />그동안 메시지를 어떻게 냈길래, 사과까지 하게 된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원래 정부와 금융당국은 올해 초만 해도 '상생 금융'을 강조해왔거든요. <br /> <br />서민 부담을 줄이라는 메시지에 은행권은 대출금리를 내려왔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주택담보대출 금리 기준이 되는 은행채 5년물 등 시장금리가 떨어진 것도 전반적인 금리 하락세를 부추겼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 집값이 들썩이자, 가계대출이 급증했거든요. <br /> <br />주택담보대출 오름세가 가팔라지자, 이 원장이 은행권을 지적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대출 확대가 가계부채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한 건데, 이게 지난 7월입니다. <br /> <br />이후 은행권이 경쟁적으로 대출금리를 끌어올렸거든요. <br /> <br />한 달 새 무려 20여 차례에 달했으니, 시장에서 곡소리가 나올 만하죠. <br /> <br />여론이 나빠지자 이 원장은 지난달 25일 대출 금리 상승을 바란 게 아니라며, 은행권 개입 강화를 대놓고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권은 화들짝 놀라서 금리 인상 대신 다른 카드를 내놓았습니다. <br /> <br />대출 최장 만기 줄이고, 유주택자 대출 제한에 나선 겁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갑자기 대출이 막히면서 혼란이 커지자, <br /> <br />이 원장은 실수요자 보호를 강조하며 한발 물러섰는데요. <br /> <br />이런 상황이 반복되자 은행권은 도대체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지 모르겠다는 반응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정부와 엇박자 논란도 있었는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91117145441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